여성주의적 가치를 가지고 가정폭력, 성폭력, 성매매, 데이트 폭력 등 여성에 대한 모든 폭력으로부터 여성의 인권을
보호하며,
폭력피해 여성을 위한 상담을 도입하고 쉼터를 개설한 시흥시 최초의 여성인권단체입니다.
현재 전국 24개 지부가 함께 활동하는 전국조직으로써, 여성의 복지 증진과 함께 가정, 직장 등 사회 전반에서 성평등을 이뤄내어
정치, 경제, 사회, 문화 등 모든
영역에서 여성들이 주체적이고 당당한 사회구성원으로서 참여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.
향후 평화를 지지하고 연대하는 단체로서 어린아이부터 노인까지
모든 세대의 삶에 관심을 갖고
성평등한 사회와 더불어 민주주의가 실현되는 그 날까지 활동하겠습니다.
시흥여성의전화는
시흥시 유일의 여성인권 단체로서 28년동안 사소하고 개인적인 문제로 숨겨져 왔던
여성에 대한 폭력을 사회적인 문제로 이끌어 낸 시흥시 여성인권운동의 역사입니다.
지금도 발생되고 있는 수많은 폭력과 차별을 근절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으며
뿌리 깊은 성차별과 가부장적 통념에 도전해 온 지역단체로서,
지역사회 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.
이제 시흥여성의전화는
지나온 28년을 디딤돌 삼아 여성들의 삶을 깊이 들여다보고 변화하는데 앞장서며
우리사회의 평등과 민주주의가 실현되는 그날까지 초심을 잃지않고
한걸음 더 나아가겠습니다.
1997 | 시흥여성의전화 창립 | |
---|---|---|
1998 | 부설 가정폭력상담소 개소 가정폭력방지법 설명회 개최/ 가정폭력사건처리 불만 신고센터 운영/ IMF위기전화 운영 |
|
1999 | 의정지기단 구성-의회 방청활동/ 여성실업극복지원센터 운영/ 노인여성상담학교 운영/ 딸들을 위한 캠프 실시(지속)/ 여성상담학교 교육(지속) | |
2000 | 성폭력 예방 인형극 공연 하늘이의 비밀’/ 호주제도의 문제점과 21세기 새로운 가족 패러다임 시흥포럼/ 초·중·고교생 열린 순회 성교육 실시 | |
2001 | 가정폭력 상담원 100시간 교육 실시/ 여성폭력 추방주간 폭력예방 캠페인 | |
2002 | 유아성폭력 예방 인형극 공연(지킴이극단창설) / 미디어 모니터 교육 | |
2003 | 가정폭력피해 여성아동 일시보호소 쉼터 위탁 운영/ 가정폭력피해자 사진전 및 토론회/ 여성정치세력화를 위한 모임(지속)/ 지킴이극단 ‘성폭력 예방 인형극’(지속) | |
2004 | 상담원·성교육강사양성교육(16강)/ 기업과 함께 하는 ‘성매매 없는 대한민국 만들기’캠페인/ 가정폭력관련 지역연계망 구축 간담회 | |
2005 | 여성상담학교 교육/ 행정사무감사모니터링/ 시금치와 쫀드기 환경인형극 공연/ 회원자녀를 위한 성교육/ 대중교육 | |
2006 | 성평등한 마을문화운동/ 의회모니터링/ 회원자녀성교육/ 가정폭력지역연계망 구축을 위한 간담회/ 성매매 없는 대한민국 만들기 캠페인 | |
2007 | 성평등분과 여성정책간담회 주제토론/ 시흥여전 재정사업 '일일호프' | |
2008 | ‘얏호’등산모임/ ‘당나귀’ 돌아온 싱글모임/ ‘로드무비’영화모임/ 부모 멘토링 지원사업/ 테메노스’발간/ 일반대중경제교육 ‘여성, 나만의 돈’ | |
2009 | 이주여성을 위한 ‘한국어교실’/ 성매매 추방캠페인/ 폭력예방! 평화로운 지역공동체를 꿈틀기 위한 토론회 | |
2010 | 오카리나 모임/ 신입회원 환영의 날/ 환경영화제/ ‘새 날개를 달자’상담원, 디딤돌스터디/ 소식지 발행(나비야) | |
2011 | 시흥시 ‘성평등 기본조례 제정’ 활동/ 극단 지킴이 모임/ 소식지 발행(나로부터 비상하다) | |
2012 | 마을문화운동/ 회원과 밤 마실/ 신입회원 환영의 날/ 상담원심화교육 | |
2013 | 성교육강사양성교육/ 제3화 여성인권영화제/ 가정폭력전문상담원교육 | |
2014 | 제 4회 여성인권영화제/ 사무실 이전식 겸 송년의 밤/ 타로상담교육/ 연계기관 네트워크 | |
2015 | 찾아가는 폭력예방교육/ 심리상담 (열린 상담 공간)/ 성인권 강사 학습모임/타로상담 학습모임 | |
2016 | 시흥평화의 소녀상 건립/ 여성쉼터 재 위탁/ 제 16회 청소년 섹슈얼리티 캠프/ 제 5회 여성인권영화제 | |
2017 | 제 6회 여성인권영화제/ 여성정치스토리텔링/ 여성정치파티 | |
2018 | 제 18회 청소년 섹슈얼리티 캠프/ 성인권 강사 대중교육/ 가정폭력생존자말하기 대회/ 미투 캠페인/ 성폭력상담소 개소(통합상담소 운영) / 제 7회 여성인권영화제 | |
2019 | 제 1회 성폭력전문상담원교육/ 제 1회 파란나비 비폭력캠페인/ 데이트폭력예방 캠페인/ 폭력없는마을만들기/ 신천동여성의전화/ 제 2회 여성폭력생존자말하기/ 회원소모임(젠더날다, 청신호, 목요살롱) |
1대 | 황선희 | 2대 | 안혜순 | 3대 | 임세연 | 4대 | 최수영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5대 | 김혜경 | 6대 | 안영미 | 7대 | 정순옥 | 8대 | 이동화 |